깃허브 썸네일형 리스트형 [Git] 깃허브 첫번째 이야기 깃을 왜 공부하는것인가? 사실 깃을 써본적은 여러번 있지만 , 매번 블로그 글을 읽으면서 수박 겉핥기 식으로 공부를 했다고 생각해서 제대로 공부하고 싶다고 생각을 했는데 전에 유투브 컴공선배 채널에서 https://youtube.com/@comgongbro?si=sRrJPud7mfAPpTaK 컴공선배 컴퓨터 공학과를 졸업하고,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는 잘나가는 선배가 말하는 IT 업계와 개발 이모저모 www.youtube.com 깃 관련 강의를 해주시는 신재형 강사님의 강의를 선착순 신청으로 강의를 공부하게 되어 이번 기회에 공부를 하며 혼자 스스로 공부한 것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이 글을 쓰게 되었다. https://youtu.be/U_q190PsVMU?si=2-_wQe30wxxWRgo- .. 더보기 깃허브 목차 깃관리 시작 깃 초기 명령어 깃 Push 오류 깃 Push 오류 해결 깃허브를 데스크탑으로만 사용하다 보니 자꾸 CLI명령어를 까먹게 되었다. 그리하여 명령어를 하나씩 정리하며 다시한번 기억을 회상시켜보자 깃 생성 및 원격 리포지토리와 연결 깃 관리 시작 $ git init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를 Git 저장소로 관리하기 시작하겠습니다 라는 명령어입니다 $ git remote add origin {리포지토리주소} 현재 작업 중인 Git 저장소에 원격 저장소를 추가하는 명령어 입니다 orgin은 원격 저장소의 별명입니다 $ git add . 현재 디렉터리 내 모든 변경된 파일을 Staging Area에 추가하는 명령어입니다. Staging Area는 변경 사항을 커밋할 때 포함 시킬 파일들을 두는.. 더보기 이전 1 다음